라이코펜(LYCOPENE)를 미생물 배양 생산
- 전문가 제언
-
○ 라이코펜은 유럽 연합에서 사용이 허가된 항산화제로 전립선암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라이코펜을 비롯한 다양한 카로티노이드는 식품 첨가제와 식품의 색소로 사용되고 먹는 화장품 개념의 뉴트리코스메틱스(nutricosmetics) 분야와 동물용 사료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 2015년 6월 BCC Resarch사에서 발간한 'The Global Market for Carotenoids‘에 의하면 카로티노이드의 전 세계시장은 2014년 15억 달러이며 2019년 18억 달러에 이르러 년 성장률이 3.9%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네덜란드 DSM社와 독일 BASF社가 시장의 55%를 점유하고 있으며 미국 FMC사와 독일 Doehler 그룹, 덴마크 Chr. Hansen사, 미국 Keimin사 등도 세계 시장에서 비중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 최근 국내의 라이코펜 연구는 품종 개발을 통한 라이코펜 생산이나 생산성 향상 측면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한 카로티노이드 생산 연구는 2011년 농촌진흥청에서 수행한 ‘시스템합성시스템합성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터페노이드 생산 대사공학 기반 구축’을 시작으로 2013년 국립농업과학원 수행한 ‘1차 대사산물 프로파일링 및 대사경로 해석 연구’ 등이 7과제가 진행되었다.
○ 미생물에 의한 카로티노이드 생산과 관련하여 생산 원가에 미치는 연향 분석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비싼 원가의 배지와 저렴한 원가 사이의 수율 분석과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분석을 통하여 이를 아우를 수 있는 미생물의 개발도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Ayerim Hernandez-Almanza, Julio Monta~nez, Guillermo Martinez, Alejandro Aguilar-Jimenez, Juan C. Contreras-Esquivel, Cristobal N. Aguila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56()
- 잡지명
-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2~148
- 분석자
- 고*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