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기능 귀리 가공식품 발효용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의 개발

전문가 제언

귀리는 다른 곡물에 비해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귀리는 β-글루칸을 포함하여 비소화성 식이섬유의 주요 공급원이기 때문에 식품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작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능성식품을 생산하기 위해 리보플라빈(비타민B2)과 세포외다당류(EPS)를 생산하는 L. plantarum(LpB2, LpUFG9, Lp90, Lp902)을 겔화된 귀리 전분 용액(전분 18%, 82%)에 발효시킨 다음 3주 동안 냉장 보존하면서 균주의 생존력과 주요 기술적, 물리화학적, 영양적, 관능적 매개 변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 생존력은 3주후에 5x108cfu/g보다 더 높았다.

 

발효 후 점도는 EPS생산 L. plantarum 균주 Lp90을 접종한 제품이 더 높았지만 저장 기간 동안 모든 샘플에서 점도는 계속 감소되었고 귀리 β-글루칸의 농도도 감소되었다. 리보플라빈-과잉생산 LpB2로 발효시킨 제품의 비타민B2의 함량은 약 두 배 더 높았고 이들 샘플의 리보플라빈 농도는 냉장 저장 중에 증가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식물 유래 젖산균의 생균제 특성(2016), 시판 생 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기능성(2015), 다양한 균주를 이용한 혼합 곡물 발효음료(2014), L. plantarum P1201을 이용한 두유-요구르트 제조(2014), 국내 육성 귀리품종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이섬유 함량 분포(2016) 등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곡물 발효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우유를 이용한 발효 유제품은 이미 생산시스템이 확립되었고 생산기술도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우유 이외의 다른 곡물(곡류와 두류)을 원료로 한 발효제품의 생산기술은 앞으로 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곡물 생산 원료의 기능적 특성은 물론 원료 기질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미생물의 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귀리 기반 발효식품은 기능성 발효제품의 시장에서 매우 전망이 밝다고 볼 수 있다.

 

저자
Pasquale Russ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68()
잡지명
LWT - Foo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8~294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