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합금 AZ31의 이온성 액체 표면피막 형성기술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적용할 수 있는 3종류의 인산염계 이온성 액체의 적용기술과 세포독성에 관한 인체적합성을 검토하였으므로 향후 마그네슘합금의 인체 이식(implant)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이온성 액체의 사용은 생명과학에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예를 들어 이온성 액체는 단백질 안정제로서 작용하고 효소에 대한 용매제로 한다. 아울러 이온성 액체는 제약과 항균제로 사용할 가능성에 각광을 받고 있다. 반면에 박테리아세포의 멤브레인을 붕괴시켜 세포의 죽음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향후 Mg합금에 대하여 이온성 액체와 이온성 액체처리공정을 통하여 임플란트 표면의 생체적합성과 내부식성을 국내기술진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지금까지 마그네슘합금에 대하여 내부식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진 표면코팅의 개발에 대한 문헌들이 제시되었지만, 생의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만족할 만한 기술이 아직 없는 것으로 사료되며, 생의학 장치 부문에 실제 상용으로 적용되는 코팅실적은 거의 없다. 향후 Mg와 Mg합금에 대하여 더욱 양호하고 간단하고 값싼 코팅기술에 대한 더욱 심도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Mg합금으로 된 장치(device)를 개발하기 위한 핵심적인 과제는 첫째로 국부적인 점부식(pitting)이 아닌 균일한 부식성을 유도하고, 둘째로 낮은 독성의 코팅재료(예, 인산염계 이온성 액체)를 선정하여 생체적합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향후 국내기업체에서 Mg합금을 이용한 생체이식재료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온성 액체가 생태계로 노출됐을 때, 인체나 환경 생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독성학적인 이슈가 존재하고 있다. 2016년 전북대 윤영상 등에 의해 이온성 액체의 다양한 생물학적 위해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마그네슘합금에 이온성 액체의 코팅층이 인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Yafei Zh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296()
- 잡지명
-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92~202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