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의 피동안전계통 평가
- 전문가 제언
-
○ 전 세계적으로 SMR 개발에는 한국, 미국, 프랑스, 캐나다, 유럽연합, 일본, 남아공,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중국 등 여러 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노형도 PWR, BWR, LMR, HTR, MSR, LGR 등 그리고 용량도 수 MW에서 수백 MW까지 다양하다. 노형별로 안전성, 경제성 등에 대하여 공식적으로 대외 인정받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배기 및 수조밸브의 후속적인 고장으로 ADS 추출밸브의 부주의한 개방이 시뮬레이션 되었다. RELAP5 모델이 실험 결과에 대하여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배기밸브 작동이, SB-LOCA의 경우에 노심 붕괴열에 의하여 생성된 증기를 배기시키고 격납용기 수조로부터 원자로용기로 냉각재 재고량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수조 밸브의 고장은 원자로 안전성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수조 재순환을 위하여 완만한 통로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자연순환 통로가 배기관 및 수조관 사이에 개발되었다. 그러나 배기 밸브 고장으로 후속적으로 ADS 밸브의 부주의한 개방의 경우에 재고량의 계속적인 손실이 관측되었다. 이 결과 노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다양한 기구가 배기밸브 작동을 위하여 요구된다.
○ MASLWR은 여러 가지 목적 즉 전기 생산, 해수 담수화 및 지역난방 등을 위한 종합 형 혁신 SMR이다. 이것은 정상 운전 중 노심을 냉각하기 위하여 자연순환을 이용한다. 통합된 구조물 때문에 여기에는 LBLOCA의 기회가 없다. 가공된 공장 및 확산에 저항하는 고유의 안전성이다. 이 원자로는 모듈 당 35MWe를 생산한다. 대량의 동력 생산을 위하여 다중 모듈은 현장에 설치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1997년, 330MWth의 PWR, SMR을 개발에 착수하여 해외수출에 노력하고 있다. 소형 모듈 원전이 우리나라에 절대 필요하다. 담수용, 지역난방 및 전기 생산용으로 활용하여 지역이기주의를 타파하는 대안이 되기를 바란다.
- 저자
- Hassan Nawaz Butt, Muhammad Ilyas, Masroor Ahmad, Fatih Aydog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98()
- 잡지명
- Annals of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91~199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