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발전소 사고관리 지원 도구: 후쿠시마 사고 후 리뷰

전문가 제언

1979년 원전 첫 번째 중대사고인 미국의 TMI 사고 후 사고관리 지원 도구가 광범위하게 개발되었으며 수많은 원전에 설치되었다. 후쿠시마 사고로부터의 학습이 중대사고 완화에서 사고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AMST 채택 및 현대화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SCDAP/RELAP, MAAP, MELCOR, ASTEC, ATHLET-CD ICARE/CATHARE 등은 원전의 안전성 분석에서 중대사고 코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MECORE MAAP 코드는 간단한 모델링 및 빠른 운전 가능성 때문에 예측 설계를 위한 가장 관심 있는 심각한 중대사고 코드이다.

 

원전의 AMST를 설계하는 실용적인 방법이 검토되고 평가되었다. 즉각적인 반응, 높은 정화도, 사용하기 용이 및 대화식 기능은 효율적인 AMST의 주 특성이다. AMST는 중요 사건의 타이밍, SAM 진입 시간, PDS 이력 및 중요 인자들의 양적 평가와 같은 발전소 상태에 관한 치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발전소의 초기 및 경계 조건에 달려있기 때문에 전형적인 SAMG에 의하여 제공될 수 없다.

 

인적 요인은 원전의 AMST의 설꼐 및 적용에서 고려되어야할 또 다른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은 운전원의 인지된 작업량이 감소되는 반면 적절한 상황인식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한다. AMST의 빈약한 적용은, 사고 관리 중 그들의 정신적 부하가 증가하는 동안 운전원을 혼란시킬 수 있으므로 상당한 반대의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COMPA를 기반으로 한 전산화된 절차서가 APR-1400 설계의 신고리 3&4호기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원자로 프로젝트에서 COMPA의 실험적 평가는 완전 자동화 조건에서 운전원이 경험한 잘 모르는 문제를 보여주었지만 운전원이 자동화된 EOP 수행을 감시하므로 근무자의 상황 인지 및 반응 시간영향에 없다. 운전원의 실수와 스트레스를 줄이므로 원전의 안전성은 그만큼 향상되는 것이다.

 

저자
Mahdi Saghafi, Mohammad B. Ghofra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2()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14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