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의 실외에서 배출되는 나노물질로 인한 환경문제

전문가 제언

나노기술(NT; Nano Technology)의 발전으로 재료, 전자, 화장품, 도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물질이 적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NT강국으로써 나노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나노물질의 생산량 및 사용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

특히 대기, 수질, 토양 등의 환경시료들에서 주로 검출되고 있는 FeOx, TiO2, SiO2, ZnO,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나노물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나노물질의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우선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국내 학계에서도 미생물, 식물, zebrafish 등을 대상으로 하여 ZnO, Ag, TiO2, CuO, SiO2 나노입자와 탄소 나노튜브의 생태독성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환경부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을 중심으로 나노물질의 환경 및 인체 위해성 평가, 노출실태, 피해예방 및 안전관리 대책 등이 연구되고 있.

지금까지 나노입자의 유해성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농도의 나노입자에 단기간 노출에 따른 급성독성(acute toxicity)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앞으로 저 농도로 장기간 노출에 따른 만성독성(chronic toxicity) 효과에 관한 연구가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 수중, 토양 환경에 분포된 나노입자의 종류와 농도, 환경조건과 시간경과에 따른 물리화학적 변이과정, 이동 및 소멸과정을 밝혀내기 위해서는 정밀한 화학분석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나노물질의 화학분석기법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앞으로 나노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나노물질의 환경 및 인체 유해성에 대한 과학적 평가결과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나노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 못지않게 나노물질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결과 확보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

저자
Mohammed Baaloush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57()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40~753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