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 중 에어로졸에 관한 연구 말레이시아의 사례

전문가 제언

지금까지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하여 온실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기 중 에어로졸은 소홀히 다루어져 왔고 에어로졸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아직도 불확실한 부분들이 많다. 따라서 대기 중 에어로졸 농도의 모니터링 기술과 에어로졸이 기후, 건강,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들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대기 중 에어로졸이 기후, 생태계,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에어로졸의 농도, 광학적 특성,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에어로졸의 발생원 및 특성 그리고 시공간적 농도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중요시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별로 대기 중 에어로졸의 광학두께(AOD ; Aerosol Optical Depth)를 비교분석한 사례를 비롯하여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그리고 지역적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학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에어로졸 연구는 주로 지상관측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어 앞으로 항공기, 선박, 차량 등을 이용한 현지(in-situ) 관측 데이터와 위성 및 라이다(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이용한 원격탐사 데이터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에어로졸의 농도분포와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연무(haze)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대기 중 에어로졸의 발생원과 농도증가 원인을 규명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며, 지역별 계절별로 에어로졸의 장거리 이동과 지역적 오염원에 관한 보다 정량화된 연구결과들이 요구된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대기 중 에어로졸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정교한 수학적 모델의 개발과 에어로졸의 화학적 조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선진국과 에어로졸 모니터링 데이터의 분석에 관한 기술교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저자
Kasturi Devi Kanniah,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82()
잡지명
Atmospheric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02~318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