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천층 처분장의 핵종이동 예측을 위한 통기대 접근법

전문가 제언

리투아니아의 Ignalina 원자력발전소(INPP) 운영 및 해체에서 발생한 중·저준위 폐기물 고화체 약 100,000m3을 천층 처분장(near-surface repository)에 처분하려고 한다.

 

Stabati?k? 천층 처분장 불포화 저장조를 통해 수분에 함유되어 이동하는 4종류 핵종 (3H, 14C, 94Nb 및 59Ni)의 이동 시뮬레이션을 FEFLOW 5.0 전산코드로 수행하였다. HYDRUS-1D로는 시멘트-고화 폐기물에서 이동하는 핵종의 초기 방사능 농도 추정과 처분장의 핵종이동 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상 시나리오를 근거로 핵종은 처분장 폐쇄 후에 불포화 상태의 저장조에서 유출되고, 오염된 plume 이동을 지정된 부지의 천연적 및 공학적 조건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공학적 방벽 아랫부분의 토양 수분에서 14C의 가장 높은 방사능 값(약 3.3 x 108 Bq/m3)은 처분장 폐쇄 후 약 7300년 후로 예측되었다. 지수대에서 예측된 다른 핵종의 방사능 농도는 3H는 122년, 59Ni는 233,000년 및 94Nb는 345,000년 후에 각각 4.9 x 104, 8.4 x 105 및 1.3 x 104 Bq/m3이다.

 

한국은 경주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부지에 대한 지하수 및 핵종이동에 대한 광범위한 모델링 및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여 처분장을 건설하였다. 이 처분장은 동굴처분 방식으로 앞으로 확장할 경우에는 천층 처분방식을 고려중에 있다.

 

중·저준위 폐기물 천층 처분은 동굴처분과는 달리 지하수의 불포화지역이 많이 존재하여 계절적 강우량과 부지 조건에 따라 인공방벽을 통한 지하수 이동이 변화한다. 따라서 폐기물 재고에 존재하는 핵종들이 지하수에 용해될 수 있으므로 이동에 따른 방사능 준위의 평가가 필요하다. 천층 처분장 건설을 고려할 경우에 이런 측면에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데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Vaidote Jakimaviciute-Maseliene, Jonas Mazeika, Stasys Motiejun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8()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3~57
분석자
박*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