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흡착 및 회수 시스템과 그 방법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의 요지는 전통적으로 써오던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금속 산화물, 하이드로탈시트 같은 탈크 등을 펠릿으로 가공하여 상용화해 오던 흡착제들을 신소재인 중공사 섬유재로 대처하여 흡착 탈착 및 재생의 과정에서 더 빠르고 높은 성능을 살린 발명으로 압력스윙, 온도스윙 및 진공스윙을 엮어 CO2의 분리 흡착 및 탈착을 통한 회수 시스템으로 만든 데 의미가 있다.
○ CO2 흡착 회수 시스템은 두 세트로 되어 있어서 한 세트가 흡착을 수행하는 동안에 다른 세트는 탈착 및 재생을 수행하며 탈착 재생이 끝나면 각 세트의 역할이 바뀐다. 이 과정을 번갈아 함으로서 연속적인 수행이 가능토록 설계 돼 있다. 흡착 용량이 높고 탈착은 빠르게 진행되어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 흡착제로 쓰이는 물질은 종류도 많고 특성도 다양하다. 그러나 흡착 성능은 표면적의 크기에 비례하고 흡착 속도는 기공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명의 원문에는 펠릿 형태의 기존 흡착제와 중공사 흡착제의 성능을 비교하여 중공사 흡착제의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는데 아쉽게도 그 펠릿 흡착제의 성분이 무엇인지는 언급돼 있지 않아 구체적인 비교는 되지 못한다.
○ 기존의 펠릿형 흡착제에 들어가는 바인더는 그 양에 따라 표면적과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므로 바인더를 쓰지 않는 중공사 흡착제는 이러한 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바인더를 쓰지 않아도 되는 섬유상 활성탄소와 비교한 경우라면 어찌될지 궁금하기도 하다. 또한 진공 고온 탈착은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발명에서는 중공사 흡착제에 적용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발명의 출원자는 1973년에 설립되어 뛰어난 연구개발 실적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타이완의 공업기술연구원이다. 약 6000여명의 인력과 미국 유럽 러시아 일본 등지에 지사를 두고 국제적인 협력의 증진을 기하고 있으며 멋진 삶과 질적인 건강, 그리고 지속가능한 환경의 3대 분야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음을 참고로 밝힌다.
- 저자
- IND TECH RES INST?[TW]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166978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
- 분석자
- 장*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