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답직파 벼의 발아시기, 종간 및 종내 경합이 피 생장과 번식력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직파 벼에서 피는 첫 우점잡초가 되었고 22개국에서 발생되었다. 피는 많은 종자를 생산하며 61개국에서 36종 작물에서 발생하고 있다. 피는 기후적응능력이 넓고 습윤한 토양으로부터 담수토양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잘 자란다. 피는 C4식물이기 때문에 수분부족, 고온, 높은 CO2 조건과 같은 기후변화에서 C3식물보다 강한 잠재력이 있으므로 피는 벼보다 높은 경쟁력으로 많은 수량을 감소시킨다.
○ 피의 초장은 벼와 비교하여 발아가 지연될수록 벼는 경합에 유리하여 늦게 발아한 피를 억제하여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벼에 의한 간섭으로 인한 피의 초장과 바이오매스 감소는 피 발생 지연으로 증가되었다. 늦게 발생한 잡초는 벼의 심한 경합을 받게 됨에 따라 종자생산을 적게 한다.
○ 농민은 잡초발생을 지연시키고 종자은행의 재생을 막는 작물생산 및 잡초관리기술이 필요하다. 경제적 손실은 초래하지 않을 때까지 잡초를 방제하는 발아 후 전략을 지연시켜야 한다.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증진시키고 작물대비 잡초의 발생 시기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심경, 벼 발아 후 조기담수, 휴간거리 감소, 멀칭, 무경운, 간작재배, 기계적 제초, 높은 재식밀도, 양분관리, 초기의 초관 형성, 잡초경합 작물, 후기 경엽처리 제초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관리기술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에서 벼 직파재배는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담수직파와 건답직파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피를 비롯한 논 잡초의 방제가 문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초제 저항성 피가 많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지만 다양한 합제 제초제가 개발되어 효과적으로 방제되고 있다.
- 저자
- T. H. Awan and B. S. Chauh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87()
- 잡지명
- Crop Prote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8~107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