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수슬러지 소각재가 시멘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하수슬러지의 처리 방법중 소각이 현재 환경적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명되어 대규모로 적용 실시되고 있으나, 이때 발생하는 소각재는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그 처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시멘트에 혼합할 경우의 제반 조건 및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사용 타당성 조사를 한 것으로, 고온 소성의 경우 안전하게 시멘트에 혼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내에서도 하수슬러지 소각재(SSA)에 대한 연구가 약 10년 전부터 시작되어, 건설자재로의 활용방안, 유리세라믹 제조, 소각재의 용융처리 등등의 연구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또한 국내 시멘트산업에서는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의 폐자재를 시멘트의 보조 원료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그러한 시멘트로 제조한 제품(벽돌 등)의 유해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슬러지 소각재에서 방사능 물질이 다량 검출되어 SSA의 안전한 처리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일본의 각종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이 한국에 수입되어 민원이 제출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의 확립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SSA함유 시멘트의 안전성을 검토하고, 안전 사용 기준을 제시하였는바, 이러한 형태의 세부적인 연구가 국내에 시급한 실정이다.

 

크게 보아 재활용 폐기물은 인류의 확실한 미래 자원인 바, 폐기물의 분류 및 재활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관리 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원화가 가능한 폐기물의 회수, 재활용 및 재생에 대해 더욱 광범위하고 세부적인 연구 및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국가의 차원을 넘어서서 국제적인 연구 및 협조를 필요로 한다.

저자
Sar Naaman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12()
잡지명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83~789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