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담금질 경화강의 절삭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의 절삭가공기술 분야는 난삭재 가공, 고속도 가공, 건식 가공을 통하여 생산성과 정밀도 향상, 고품질 저비용을 추구하는 절삭가공 기술로 변모해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경화강을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절삭조건 등을 설정하여 난삭재 절삭가공에 대한 표준화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절삭과정에 공구와 경화강 경계면에서는 고온, 고압, 높은 변형으로 인하여 피삭재의 일부가 파단되어 공구 날 끝 주위에 퇴적하게 된다. 이 퇴적물의 층상조직으로 형성된 것이 구성 날 끝(BUE: Built-up Edge)이다.

 

BUE의 특징은 피삭재보다 훨씬 단단한 상태이기 때문에 절삭공구 날 끝을 대신하는 기능뿐 만아니라 보호막 역할을 하여준다. 구성 유착층(BUL: Built-up Layer)은 구성 날 끝의 전 단계로서 소형이며 안정화된 BUE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BUE의 유해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논문은 많은 발표를 하였지만, BUL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차제에 BUL에 대한 성장 메커니즘을 명확히 분석하여 절삭 성능 개선에 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절삭가공기술을 확립하여 둘 필요가 있다.

 

국내 공작기계 및 절삭가공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인 철강의 절삭이론과 BUE의 생성과 소멸에 대해서는 많은 문헌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담금질된 경화강, 난삭재 등에 대한 절삭이론, BUE BUL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발표 논문은 그리 많지 않은 형편이다. 이에 대한 실험 연구는 학계, 출연연구원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필요로 한다.

 

최근의 절삭가공기술이 난삭재도 일반강재처럼 가공할 수 있게 자동화, 무인화 되어 가고 있는 만큼 이러한 시스템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시기이다. 절삭공정의 감시를 통하여 공구마멸, 공구의 진동, BUE BUL의 발생 감지로 이들을 조기에 발견 조치할 수 있는 In-process 감시 시스템의 개발이 된다면 절삭가공기술의 획기적인 개혁이 일어날 것으로 본다. 산학연 관련 기관들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줄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저자
Song Xiaoqi; Yukio Takahashi; He Weiming; Tohru Iha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82(9)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14~820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