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류 중의 7가지 살균제의 동시분석
- 전문가 제언
-
○ 살균제와 같은 농약은 안전사용기준 미준수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불안감을 주며 수입식품도 국내 소비자들 대상으로 위해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농약들이 검출됨에 따라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식약처는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포지티브리스트시스템(Positive List System, PLS)을 도입 추진 중이다. PLS 제도는 등록하여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것 이외의 농약이 검출되었을 경우 불검출 수준의 일률기준인 0.01mg/kg으로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 일본에서 최근 과일에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 중 azoxystrobin(AZO), pyrimethanil(PYRI), diphenyl(DP), fludioxonil(FLUDI), imazalil(IMZ), o-phenylphenol(OPP), thiabendazole(TBZ)는 서로 다른 화학적 부류에 속해 있으며, 주로 수입 감귤류에 함유되어 있다. 이전에는 LC-MS에 의해 AZO, FLUDI, IMZ, PYRI, TBZ를 분석하고, HPLC로는 DP와 OPP를 분석했지만, 현재는 한 번의 분석으로 7가지 살균제를 동시에 모두 식별하고 정량하기 위한 GC-MS법을 개발하여 감귤류의 살균제 분석을 하게 되었다.
○ 식약처의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에는 검체를 아세토니트릴 또는 아세톤으로 추출한 다음, 기체크로마토그래프 측정농약은 플로리실 및 카본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하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측정농약은 아미노프로필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하게 되어 있어, 우리나라도 본 논문처럼 한 번의 분석으로 7가지 살균제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GC-MS법으로 바꾸는 것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국내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나, 감귤의 경우는 azoxystrobin 1.0mg/kg, pyrimethanil 1.0mg/kg, fludioxonil 1.0mg/kg, thiabendazole은 10mg/kg으로 등록되었고, imazalil은 2014년에 5.0mg/kg로 등록되었으나, diphenyl과 o-phenylphenol은 아직 미등록 상태이므로 이들과 함께 신규 개발된 살균제에 대한 규격 기준이 동시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Hideo Nagashima, Akiho Hirao, Yuuki Tokuda, Kumiko Urut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57(4)
- 잡지명
- 食品衛生學雜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01~106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