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단일세포 분석을 위한 미세유동 기술
- 전문가 제언
-
○ 미세제작기술(microfabrication)과 소프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정밀한 유체제어를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단일세포와 그 환경을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민감한 분자생물학 수단이 점차 도입됨에 따라 많은 수의 단일세포를 한 번에 분류하고, 가르고, 개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급의 랩-언-어-칩 디바이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 미세 단일세포 분석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세포밀도측정, 불균일성조사, 병들거나 변이된 세포의 분리, 복잡한 세포집단으로부터 희귀 세포의 선발 등이 가능해졌다. 단일세포의 선발과 분석이 가능한 기술은 세포의 특정생물형군(subpopulations)의 존재를 확인하고 동정 및 분석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생화학적 생산, 임상진단, 치료, 재생의학 등에 폭 넓게 응용될 수 있다.
○ 기계적 세포분류는 외부의 전기, 광학, 음파, 또는 자장에 의해 유도된 자극에 따라 유체도관을 건너는 입자를 선택적으로 다룬다. 라벨-후리 소팅 메커니즘은 세포의 크기, 모양, 밀도, 탄성, 분극성, 자기민감도 등의 세포의 물리적 인자를 이용한다. 최근에 혈액 중의 순환 종양세포(CTCs) 분리를 위한 고속 라벨-후리 플랫폼기술이 소개되었다.
○ 지난 십 여 년 동안 단일세포 유전체 분야는 미세유동기술이 같이 집적되어, PCR 반응으로 단일세포로부터 핵산을 분리, 디지털 PCR(dPCR) 염기서열 결정을 행하는 파라다임 변화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droplet(∼1 나노리터 수준) dPCR (Droplet Digital PCR, ddPCR)을 이용하여 단일세포 내의 유전자 카피넘버를 절대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카피넘버 변환 관련 질환을 알아내거나 유방암 클론의 진화를 추정하는 고속분석법이 등장하였다.
○ 앞으로의 미세유동 플랫폼 기술은 환경변화, 신호전달, 기계적 자극 등에 대응하는 세포동력학을 단일세포 수준에서 모니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단일세포 수준 분석결과를 조직공학, 재생의학용 생체재료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Amy Reece, Bingzhao Xia, Zhongliang Jiang, Benjamin Noren, Ralph McBride, John Oakey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0()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0~96
- 분석자
- 윤*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