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졸중으로 인한 뇌손상 치료용 히드로겔

전문가 제언

뇌졸중은 성인에게서 심각한 장기적 불구를 초래하여 삶의 질을 매우 떨어뜨리지만, 많은 의약학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장기적 뇌신경손상을 치료할 방법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은 손상된 장기를 대체할 인공장기를 개발하는 기술이다. 본 자료에서는 지금까지 축적된 조직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히드로겔 소재를 뇌졸중으로 인한 뇌손상 부위 공동에 직접 주입하여 기계적 쿠션을 만들고, 이것을 통해 뇌세포생장 관련 인자나 전구세포를 담지 시켜 세포생존율을 높여 손상된 뇌를 재생시키는 기술에 관한 내용이다.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시도된 뇌병변 부위 공동(cavity)에 직접 주입을 시도한 히드로겔 유형들은 히알루론산(HA)/펩티드 히드로겔, HA/메틸셀룰로즈(HAMC) 혼성체로 구성된 주사용 가교 히드로겔, PLGA 나노입자에 EGF-PEGEPO를 캡슐화 시켜 만든 HAMC 혼성체 히드로겔, HA/헤파린/콜라겐 히드로겔, type I 콜라겐 지지체 등이 있다.

 

흥미로운 것은 최근에 히드로겔의 구조적 조절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증진을 시도한 연구들이다. 예로써, 기계적 탄성 강도가 높은 히드로겔이 약한 것보다 항염증성이 높다. 히드로겔의 다공성을 높임으로써 세포분화를 유도하여 손상조직의 치료효율을 높이고 염증을 감소시킨다는 최근 보고도 있다.

 

비교적 오랜 기간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공유결합적으로 안정화 시킨 히드로겔이 스트로크 공동으로의 줄기세포 이식용 전달체로 이용되었을 때 줄기세포 생존율 증진은 물론 혈관생성 인자의 전달 없이도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보면 히드로겔이 뇌졸중 후의 손상된 뇌병변에서의 신경세포 성장 및 뇌신경 발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뇌졸중 병변 공동에 이식할 scaffold design에서의 기존의 네트워크와 기능적 연결이 되는 설계가 곧 등장하리라 기대한다.

저자
Lina Ratiba Nih, Stanley Thomas Carmichael, Tatiana Segu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40()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55~163
분석자
윤*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