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농법과 관행적 작부체계에서 잡초경합에 의한 수량감소

전문가 제언

유기농법시스템은 양분유지 전략으로 합성재료를 대체한 작물윤작, 녹비/피복작물, 퇴비 등을 사용하며, 잡초방제는 단기적인 경종적, 기계적 방법과 장기적인 작물윤작을 결합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한 수량을 내는 지속적 유기농법 작물생산은 유기농법 영농에서 직면한 중요한 도전이다.

 

세계적으로 유기농법과 관행적 작부체계를 메타분석 한 결과, 유기농법 시스템에서는 작물의 종류와 작부체계에 따라 5-35% 더 낮은 수량을 보였다. 유기농법 작부체계에서는 토양양분 결핍과 높은 잡초밀도가 작물수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었다.

 

잡초밀도는 관행시스템에서보다 유기농법시스템과 일년생-다년생 윤작에서 더 높았다. 그러나 잡초밀도가 작물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잡초경합이 없었을지라도 유기농법시스템은 관행시스템보다 현저히 낮은 작물수량을 보였으므로 유기농법시스템에서 낮은 수량은 잡초경합 때문이 아니고 다른 토양요인에 기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잡초방제는 대부분 제초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유기농법 잡초방제는 주로 논에서 우렁이농법, 오리농법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밭작물에서는 기계적 방법이외의 방법은 실행이 안 되고 있지만 앞으로 소득작물을 중심으로 다양한 잡초방제 수단을 조합한 종합적 잡초방제법이 연구되고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저자
D. Benaragama, S. J. Shirtliffe, E. N. Johnson, H. S. Duddu and L. D. Syrov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6()
잡지명
Weed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4~283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