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PCB에서 주석회수용 멤브레인 전착 공정
- 전문가 제언
-
○ 주석은 원자번호 50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Sn이다. 주석의 지각에서의 존재비는 약 2ppm으로, 존재량이 대략 49번째인 비교적 희귀한 원소이다. 천연에서 원소 상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주석석(cassiterite)이 가장 흔하고 중요한 광석이다. 주석의 가장 큰 용도는 금속관과 전자제품의 회로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땜납이다.
○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은 전자제품이 소형화 및 경량화가 되면서 개발된 전자부품으로 작업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내곡성, 내약품성이 강하며, 열에 강하므로, 모든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으로서 카메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 휴대폰, 비디오 및 오디오기기, 캠코더프린터, DVD, TFT LCD, 위성장비, 군사장비, 의료장비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도금기술에서의 멤브레인은 두 개의 상을 나누는 경계상을 말하며, 여러 가지 물질의 투과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물질의 분리에 이용된다. 고분자의 막은 분리에 사용되며, 여과, 정밀여과, 한외여과, 역침투 또는 초여과, 투석, 전기투석, 기체분리 등의 프로세스가 있다. 무기 고체막은 고액 분리용의 글래스 필름 외에 수소가스 분리용의 팔라듐합금 막 등이 있다. 또, 각종 이온 센서로써 이온 검출에 이용된다.
○ 우리나라에서 주석광석 생산은 과거에 소량 기록된 바 있으나 현재는 전무하다. 전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주석괴의 경우는 국내 수요량이 2015년 14,453톤으로 2014년 15,004톤보다 3.7%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6년 내수는 5.7% 증가, 수입은 6.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폐전자스크랩에서의 주석회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국내에서 주석회수에 관한 연구는 폐전자스크랩의 미생물 침출액으로부터 구리 및 주석회수에 관한 연구와 전자스크랩에서 구리 및 주석의 회수를 위한 질산침출 및 침출액에서 유리질산 제거연구 등이 있다. 신멤브레인 전착 기반 폐인쇄회로기판에서의 주석을 회수하는 연구와 기존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주석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이 도출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저자
- boardsYang Jian-guang, Lei Jie, Peng Si-yao, Lv Yuan-lu, Shi Wei-qi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304()
- 잡지명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09~416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