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 폐기물로부터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재료 중간물질 제조

전문가 제언

지구의 지속가능한 온실가스배출 관리와 감축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를 대체할 방안 중의 하나가 바이오매스 폐기물로부터 바이오연료와 바이오중간물질(building blocks)을 제조하는 것이다. 농업잔사(볏짚, 적은 자작나무 펄프), -산업 폐기물(버섯 폐기물, 목화 셀룰로오스), 식품 및 산업 폐수는 바이오수소, 바이오메탄 및 바이오화합물 생산의 풍부한 재생 가능한 공급 원료이다.

 

폐기물을 에너지와 바이오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기술에는 바이오매스의 전 처리와 후속으로 당으로의 전환이 포함된다. 당은 그 다음 수소, 메탄, 에탄올 및 젖산, 초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 휘발성 지방산바이오 재료 중간물질로 전환된다.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수소와 바이오메탄을 생산하기 위하여 고 수율이며 더 많은 COD를 제거할 수 있는 통합 2단계 연속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국내 바이오매스 발생량은 2010년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바이오매스 중 가장 많은 잠재량은 임산바이오매스로 바이오매스양의 68.0%를 차지하고, 도시폐기물 바이오매스, 축산 바이오매스, 농산 바이오매스는 각각 16.6%, 11.4%, 4.1%를 차지한다. 현재 국내 가용 바이오매스 에너지 잠재량은 연간 약 14,025,000TOE으로 2010년 기준 국가 총 1차 에너지 공급량인 262,609,000TOE의 약 5.3%에 해당한다.

 

이 논문에서 주안을 둔 농업 부산물의 국내 발생현환을 보면 2010년 기준 볏짚 등 3,525,450TOE이고, 하수 슬러지 등 유기성 슬러지 발생량이 2010년 기준 2,060,590TOE이다.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기술은 물리학적, 열화학적, 생물학적 변환기술로 대별할 수 있다. 물리학적 변환에는 목질계, 초본계 등을 칩이나 펠릿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이고, 열화학적변환으로는 탄화, 가스화, 수열가스화, 액체연료화, 수소화 등이 있고, 생물학적변환으로는 수소발효, 당질, 전분질계 발효, 셀룰로오스발효 등이 있다. 변환시설은 바이오가스 플랜트 등을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에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저자
Chun-Min Liu, Shu-Yii W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6()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56~1062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