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 매개 바이러스

전문가 제언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바이러스가 장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약한 설사로부터 심각한 신경 질환, 드물게는 마비나 출혈열까지 다양한데, 위장염과 간염이 가장 흔하다. 급성 장염은 호흡기 감염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식품매개 바이러스 식중독은 세균성 식중독과 달리 미량의 개체로도 발병될 수 있고 2차 감염으로 대형 식중독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질병을 일으키는 식품매개 바이러스는 다양하지만 NoV(NoroVirus), HAV(Hepatitis A Virus)가 주된 발병 원인이다. HEV(Hepatitis E Virus)는 잠재적인 동물원성 감염체로 등장하고 있다. 식품매개 바이러스는 사람 분변과 구토물이나 이에 오염된 물 또는 감염자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감염된다. 전파의 주원인이 식품취급자라는 보고도 있다.

 

오늘날 식품은 그 어느 때보다 안전하나 식품매개 질병들은 아직 수시로 발병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기까지 한다. 미국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따르면 식품매개 질병으로 해마다 대략 사천팔백백만 명이 앓고 128,000명이 입원하며 3,000명이 죽는다. 특히 심각한 것은 40%가 5세 미만이라는 것이다.

 

No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7 종류의 백신이 개발 중이며, 백신이 이환율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복합 유전자형을 표적으로 하는 데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HAV는 매우 효과적인 비활성 백신이 있다. 재조합 HEV 백신 HEV 239가 중국에서는 허가받았지만 세계적으로 쓰이기에는 아직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도 식품 매개 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빈발한다. 특히 각급 학교의 급식이 문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국립보건연구원은 2016년 9월 1일 ~ 2일 관련 국가 기관들과 함께 수인성·식품매개 바이러스 연구 협의체 워크숍을 개최하여 NoV 시험법 표준화, 패류 NoV 제어 방안, 지하수 NoV 식중독 예방 및 관리 등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대학에서도 식품매개 바이러스의 효율적인 검출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저자
Albert Bosch, Rosa M Pinto, Susana Guix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8()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0~119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