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X-7 기반 고에너지 고밀도 물질들에 대한 이론적 성능 예측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인도 Institute of Technology Kharagpur의 화학과 Susanta Ghanta교수는 FOX-7의 분자구조의 alkene(-C=C-)형태를 유지하면서 4, 5, 6-원자 고리(Ring) 화합물인 F4M, F5M과 F6M을 설계하였다. F4M, F5M과 F6M 화합물은 전통적인 C-H-N-O 원소 화약인 분자구조인 고에너지 고밀도물질(HEDM)화약이다. 새로운 개념의 F4M, F5M과 F6M 에너지물질은 결정밀도와 화약 폭발 특성에서 FOX-7보다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최근 국내의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스웨덴과 공동연구로 둔감화약인 FOX-7 합성과 제조 연구에 착수 하고 있다. 특히 국방과학연구소는 새로운 개념의 고성능화약인 F4M, F5M과 F6M에 대해서 이론적 해석과 실험적 합성공정 등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 화합물들은 둔감 탄두/탄약에 적용할 고성능 화약과 둔감 추진제 원료로 추천할만한 에너지물질이다.
○ 국내의 국방과학연구소와 고에너지물질 특화센터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고에너지 신물질 연구 프로그램인 ab initio, Gaussian 03과 CHEETAH 프로그램 등으로 FOX-7 기반 이성체들에 대한 분자구조와 화약특성 등 연구도 필요하다. 고에너지 물질인 화약, 추진제 관련 산화제 등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물질에 대한 설계, 합성, 성능평가 기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도 FOX-7 이성체 화약들에 대한 화약의 설계, 합성 공정과 성능 평가 등 자체 개발 가능성 검증이 필요하다. 고에너지 물질인 화약과 추진제 관련 산화제 등 개발을 위한 신물질에 대한 이론적 분자구조 설계와 실용화 제조할 기술 확보를 위해서 많은 전문가 양성도 필요하다.
- 저자
- Susanta Ghant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118()
- 잡지명
-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8~33
- 분석자
- 전*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