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한 고 효율 소형 풍력에너지 수확장치
- 전문가 제언
-
○ 주위환경으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낮은 전력에너지 수확 기술은 미래 유망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이는 전력그리드로부터 전력 활용이 불가능하거나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차하는 부담이 너무 큰 빌딩이나 홈 자동화, 군사시설, 항공 전자공학 및 통신장치 등의 에너지원으로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 이 논문은 소형 내장형 자율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서 풍력의 흐름을 이용하는 시스템 개발에 대한 이태리 Trento 대학의 D. Brunelli 교수의 연구결과다. 소형 풍력터빈들의 특징과 효율성을 논의하고 고 효율의 전력변환을 위해 터빈은 64 cm3 보다 크지 않도록 설계하였으며 최적의 전력점을 추적할 수 있는 고효율의 승강압 벅-부스트(buck-boost)변환장치를 사용하여 풍속이 16km/h 에서 10 mW의 전력을 생산하였다. 이의 전력 변환율이 87%에 이르게 됨으로 Bet’z 법칙(59.3%)을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다.
○ 국내에서도 에너지수확에 대한 연구와 특허획득이 늘고 있다(NDSL 검색결과(2016.9.15.) 최근 십년 간 국내논문 426, 국내특허 221). 최근에는 누설전력(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년), 마찰전기(중앙대, 2016), 입사전자파(삼성전자, 2010), 타이어 압전(김재열, 2011), 그래핀 복합재(KAIST, 2014), 교량진동에너지(전북대, 2011) 등 에너지 수확을 실현하는 특허등록이 늘어나고 있으며 에너지수확에 관한 연구논문도 증가하고 있다.
○ 우리는 관심만 가지면 주위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지식산업사회에서 살고 있다. 또한 저자 Brunelli와 같이 효율적인 에너지수확 시스템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특히 마이크로 에너지 수확장치는 아이디어만 있으면 중소기업에서도 충분히 우수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미래 산업의 한 소재분야다. 그냥 놔두면 버려지고 소멸되는 주위의 에너지를 필요한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쓰고 관리하는 시스템 환경이 구축되고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
- 저자
- Davide Brunell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6()
- 잡지명
- Senso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00032701~00032719
- 분석자
- 윤*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