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IV-백신 개발을 위한 새로운 개념

전문가 제언

HIV에 의한 에이즈로 인해 2,500만 명이 희생되었고 3,300만 명 이상이 HIV를 갖고 있으며 매일 7천 건 이상의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HIV 감염에 대한 대처는 조합 또는 단일 약제를 이용한 소위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AntiRetroviral Therapy: ART)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 요법도 오랜 투약기간과 부작용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HIV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백신 개발을 아직 달성되지 않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6건의 HIV-1 후보백신의 임상시험이 실시되었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다만 이중에서 태국에서 실시된 RV144 임상시험으로부터 광범위 중화항체(bnAb)가 발견되면서 서광이 비치기 시작하여 주춤했던 HIV 백신 개발이 활력을 얻게 되었다.

 

최근 강력한 광범위 중화항체의 분리, bnAb의 유발의 기전의 발견 및 HIV 감염 세포를 죽이는 CD8 T 세포의 이례적인 기전의 발견되면서 HIV 백신 설계전략을 위한 새로운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백신 선진국들은 면역과 보호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한 20여 건의 HIV 백신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있거나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가 에이즈를 3군 감염병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HIV 진단 및 탐지 관련 기술은 구축되어 있다. 에이즈 치료 예방 분야에서는 국내 기업들은 백신보다 치료제에 집중하고 있으며 신약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백신 분야에 있어서는 HIV 후보백신(AIDSVAX)의 생산 시설을 국내에 갖추려 했으나 무산된 바 있고 Sumagen사의 사백신(SAV001)이 2013년 1상 임상연구에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아 2상 임상을 준비 중에 있다.

 

이 총설에서 저자들은 성공적 HIV-1 백신 개발을 위해 현재 수행 중인 4개 접근방안을 논의한다. 네 가지 접근방안은 보호에 있어 각기 다른 면역 상관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모두 효능시험으로 진전하고 있기 때문에 HIV-1 백신 분야는 HIV-1에 대한 보호 면역을 인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맞게 될 것이다.

 

저자
Kathryn E Stephenson, Helen T D’Couto and Dan H Barouc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41()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46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