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기 사용 방사선동위원소 생산용 타깃챔버와 제조법
- 전문가 제언
-
○ 방사선의학은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핵의학 영상이나 PET 및 방사선추적자 등에 사용되는 F18-, N13이나 농축수 H2O18 및 H2O16 등의 동위원소들은 기체나 액체 상태의 표적물질에 양자선 등의 가속입자를 조사시켜 생산한다.
○ 표적 핵을 담는 타깃챔버(target chamber)는 주로 금속 블록을 절삭 등의 정밀한 기계적 가공작업을 통해 제작해왔다. 이 특허는 1~5㎜ 두께의 금속판을 펀칭(punching)이나 유압 성형으로 용기(cavity)를 형성시켜 이속에 유체상의 표적물질을 담아 조사시키는 방사성동위원소 제조시설에 관한 특허이다.
○ 일본의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는 액체 속에 혼합된 표적물질을 타깃챔버 내에서 건조시켜 액체 성분을 감소시킨 뒤 가속빔을 조사시켜 방사성 약제로 많이 사용되는 Tc00m 등을 제조하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나의 용기로 원격 조작 및 반복 제조가 가능한 가속기를 사용하는 방사성핵종 제조방법 및 장치(WO 2012039036 A1) 등에 대한 특허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 화학적 성질이 수소와 닮은 F를 비롯하여 생체를 구성하는 산소, 탄소 및 질소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들도 혈액량, 췌장 기능, 심근, 도파밍, 산소대사, 당대사 및 종양 검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양전자 방사선동위원소 11C, 13N, 15O, 18F 등은 소형의 사이클로트론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 HANARO, 경주의 양성자가속기, 서울과 정읍의 중대형 사이클로트론 등 대형 연구시설이 구축돼 있다. 또한 현재 부산에 건설 중인 수출용 신형 연구로가 완공되면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대형 연구시설들이 연계된 동위원소의 생산과 공급, 기술개발 체계를 강화를 통해 방사성동위원소의 원활한 수급과 관련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분야는 우리의 Blue-Ocean이 될 수 있다.
- 저자
- General Electric Company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100477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4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