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인쇄회로기판(PCB)의 귀금속회수 기술
- 전문가 제언
-
○ 전세계적으로 지구촌에서는 경제 성장을 급속하게 추구하면서 대량의 전기전자제품 폐기물(WEEE; waste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을 생성하고 있다. 모든 WEEE 중에서 특히 폐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 circuit board)이 가장 귀중한 자원으로 인지되고 있다. 그 이유는 폐 PCB가 일반적인 금속 광산에 비해 많은 귀금속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폐 PCB으로부터 귀금속의 재활용을 포함하고 있는도시 광산(urban mine)에서 재활용 시스템 구축 사업은 사회와 경제의 재구성에 글로컬(glocal)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폐 PCB 내 금속은 일반적으로 유기물들과 교차 연결(cross-link)되어 있다. 이들 유기물은 독성 물질이고, 생체 내 축적이 가능하다. 폐 PCB 내 유기물로는 브롬계 난연제, 폴리 염화 디벤조-p-다이옥신, 디벤조퓨란(PCDD/Fs),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PBDEs), 염소화 다이옥신, 다고리 방향족 등이 있다. 특히, 폐 PCB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PBDEs는 내분비 호르몬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천연 광산과 폐 PCB의 도시 광산에서 채광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폐 PCB 내에는 다양한 금속들과 귀금속들이 포함되어 있다. 2010년 한 연구에 의하면, 금속들(예: 구리, 철, 알루미늄, 납, 주석)과 귀금속들(예: 금, 은, 백금)과 같은 60가지 원소가 폐 PCB 내에 복잡한 어셈블리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폐 PCB로부터 특정 금속 회수 기술은 매우 난해하다; 2) 폐 PCB 내에서 금속은 유기물들과 교차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폐 PCB로부터 금속 회수 기술은 천연 광산에 비해 매우 복잡하다.
○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폐 PCB에서 귀금속 회수용 산업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연구가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2016년에 강원대학교에서 폐 PCB으로부터 유가 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연구실 규모로 황산 침출 기술을 연구하였다. 향후에 금속 회수 또는 귀금속회수 현행 기술들은 산업용으로 고 회수 비율과 친환경성을 갖도록 개별 기술 측면에서도 개선돼야 하고 조합 기술 측면에서도 융합되어 개발돼야 한다.
- 저자
- Y Lu and Z X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13()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39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