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용액 연소법으로 합성한 BaAl2O4 형광체의 광형광 및 열형광 성질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Eu Dy를 같이 도포한 알루민산바륨 형광체를 요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연소법으로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상 형성은 분말 X선 회절(PXRD)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SEM으로 광 배율을 달리(낮고 높게) 하였더니 결정의 형태와 크기가 균일하지 않음을 알았다. 이것은 연소 기법에서 온도와 불꽃의 흐름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 형성 및 합성한 형광체의 불순물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FTI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도포물질이 모 재료 격자에 도포되었나를 확인하기 위하여 PL 측정을 하였다.

 

합성한 형광체를 Co-60 감마선(Eavg=1.25MeV) 6MeV 16MeV X선 광자로 여러 선량 준위로 조사한 후에 TL 거동을 연구하였다. 방사선으로 조사한 시료의 잔영 곡선은 115에서 각 조사량에 따라 하나의 피크만이 관찰되고, 피크 위치의 변동이 없었다. 합성한 형광체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전파포획(trapping) 파라미터를 평가하였다.

 

형광체가, 비교적 강도가 크고 단순한 잔영 피크가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원자력 산업계의 이온화 방사선, 감마선 조사 고에너지 가속기, 원자로, 등 고 선량 피폭을 수반하는 산업체의 조사량을 감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것은 또한 사고 및 사후선량평가(retrospective dose assessment)에 이용된다.

 

형광체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국내 여러 곳에서 진행되어 왔고, 지금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형광체(소재) 연구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양적으로는 CRT(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심장재동기화치료), 3파장용 형광체가 거의 전부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었고, 무기 EL(Electroluminescence)용 형광체(소재)는 지금도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국내 형광체 연구는 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용이 연구되고 있으며 기술도 일부 업체의 경우 세계적인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저자
PushprajPathak,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127()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6~6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