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효율 LED를 위한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CsPbBr3-CsPb2Br5 복합체

전문가 제언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발광물질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납할로겐 화합물 CH3NH3PbX3 CsPbX3의 나노결정에 대한 연구가 본 궤도 에 오르고 있다. 이 물질들은 OLED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하는 양자 점 발광 다이오드(QLED)의 핵심 발광체로 기대가 되고 있다.

 

본 분석물은 CsPbX3-CsPb2X5 이중 상 복합 나노결정을 다루고 있다. 흔히 접근할 수 있는 물질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CH3 NH3PbX3 의 불안정성을 개선할수 있다고 생각되는 CsPbX3의 나노결정이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에서 출발하고 있다.

핵심은 이 물질의 합성방법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합성에 대해서 본문에 개략적인 것 외에 상세하게 밝혀진 것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숨겨진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그 징후는 본문의 다음과 같은문구에서 읽을 수 있다. “-the intended losses of Br atoms in reactant PbBr2 and the potential incomplete reaction-”(본문 4599쪽 왼쪽 칼럼 중간 쯤).

 

유기-무기 혹은 전 무기질 페로브스카이트 납 할로겐 화합물에 대한 해외 논문을 많이 접하다 보니 눈에 분명하게 띄는 것은 중국과학자들의 쇄도이다. 태양전지 분야에서 촉발된 이 물질들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분야에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학자들의 쇄도에 대한 느낌은 그리 유쾌한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는 전무기질 납할로겐 화합물 CsPbX3 나노결정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 다행스러운 것은 국내 연구진의 유기-무기 납 할로겐 화합물(CH3 NH3PbX3) 나노결정에 대한 연구가 태양전지 분야에서 활발하다. 이에 대한 경험을 CsPbX3와 같은 전 무기질 납 할로겐 화합물로 발전시킨다면 쉽게 이 분야에 편승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세계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기술우위 선점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 프로그람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도 시급하다.

저자
Xiaoli Zh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26()
잡지명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595~4600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