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레이더와 카메라의 자동 보정기술
- 전문가 제언
-
○ 캘리브레이션은 장비가 가지고 있는 오차를 기준에 맞게 재조정해주는 기법으로, 표준(standard)이라 불리는 알고 있는 기준 값과 시험기에서 측정한 미지의 값을 비교하는 것이다. 계측장비나 인식장치를 측정단위의 기준점과 스케일에 맞게 재조정하기 위하여 영점조정을 포함한 스케일조정을 병행하여 측정 장치의 정밀도를 확인하고 조절하는 기술이다.
○ 장비마다 캘리브레이션을 하는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으며, 정밀 계측장비는 측정 전에 반드시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측정오차를 최소화 해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알고 있는 표준 값은 캘리브레이션하는 장비로 부터의 반응을 활성화하는데 사용되며, 표준과 시험 하에 있는 장치 사이에서 관찰된 차이가 캘리브레이션의 결과이다.
○ 개발과정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하며, 품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효율향상을 추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캘리브레이션 및 검증 작업은 시제품 ECU, 시험기구, 차량시험에 의한 반복적인 시험으로 장시간이 소요되고 개발비 부담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 및 프론트 로딩 혁신(front loading innovation)이 급부상하고 있다.
○ 프론트 로딩은 후속 절차에서 발생할 잠재적 문제를 앞 단계에서 미리 확인하고 해결하는 것을 뜻한다. 신제품이나 신기술 개발 과정에서 고객 중심의 가치를 창조하는 한편,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 사전 점검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인다. 최근에는 디지털 혁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예전에 비해 프론트 로딩을 보다 쉽고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앞으로 프론트 로딩은 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 프로세스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 캘리브레이션은 제조회사, ECU(Electronic Control Unit) 공급업체 및 엔지니어링 업체 사이에서 업무 분담을 통해 실시되며, 반복되는 캘리브레이션 및 검증업무는 다양한 단계의 ECU 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차량 개발단계에서 필수적이다. 개발 과정에서 전자시스템 및 ECU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서로 다른 영역과 다른 업체들로부터의 지속적인 노력에 의해 공유된다. 앞으로 캘리브레이션 결과의 개선과 추정되는 변환을 평가하는 시험의 설계를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arcelo Pereira, David Silva, Vitor Santos, Paulo Dia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83()
- 잡지명
-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26~337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