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주차를 위한 경로 선택의 최적화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상용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과 아울러 미국, 유럽과 한국을 중심으로 단순한 자동 주차에서 좀 더 발전된 형태의 자동 주차 지원시스템을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와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자동 주차 시스템은 주차장의 인프라와 협력 없이 자동차가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주차를 보조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인 ADAS(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의 일부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지능형 스마트 카에서 제공하는 ADAS 자동 주차 시스템은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지 않고 카메라 등의 비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한된 범위의 조향 핸들의 조작을 보조하는 수준이다.

 

주차지원 장치는 1934년에 개발되기 시작하여 2003년에 도요타 프리우스에 차를 스스로 후진시켜 주차를 지원하는 Intelligent Parking Assist System이 소개되었다. 이어서 독일의 VolkswagenBMW에서 평행주차 지원시스템인 Park Assistant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는 2010년에 현대자동차에서 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을 도입하여 평행 주차와 직각 주차가 가능한 새로운 시스템을 선보였다.

 

최근의 자동주차 지원시스템은 IT 기술을 이용한 쌍방향 통신이나, 무선조종, 자율주행 등을 기반으로 한 주차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VolvoAutonomous Parking은 도로와 주차장에 마련된 인프라를 통해 통신을 주고받아 운전자 없이도 스스로 빈 공간을 찾아 주차하고, 호출하면 운전자가 내렸던 장소로 찾아온다. BMW i3의 자동주차 시스템은 주차 공간을 확인하고 시스템을 작동시키면,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스스로 주차한다.

 

자동주차 시스템과 IT 기술의 융합에 의해 주차장에서 사용되던 자동주차 시스템이 점차 범위가 확대되고, 자율주행 자동차를 만드는 첫걸음으로 발전하고 있다. 실내 주차장에서 자율 주차를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정밀하며 차량의 거동을 고려하는 감지거리를 만족하는 실내 측위 확보기술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저자
Patrick Zips, Martin Bock, Andres Kug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79()
잡지명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11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