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율 주행 자동차의 핵심 기능

전문가 제언

최근 차세대 새로운 자동차 기술로 전기 자동차와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화석연료에서 리튬 이온 전지, 수소로 이행하는 에너지원의 전환뿐만 아니라 전방의 차량이나 도로 주변 환경을 감지해서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동화 기술도 상용화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완전 무인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Daimler, BMW, Audi, Ford, Nissan, Volkswagen, Volvo를 비롯한 주요 자동차 제조회사와 Google과 같은 IT 업계에서는 경쟁적으로 새로운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을 발표하면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기 개발된 차량의 플랫폼에 인지 능력과 고도의 지능을 결합시켜 주행과 제동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조정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자동차 제조회사는 운전자 지원시스템을 확대하고 점점 더 많은 자율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은 자율 주행 기술을 레벨 0부터 레벨 4까지 총 5단계로 정의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인 부분적 자동 운전에는 도달했지만, 고도로 자동화된 자율 주행 자동차는 2025년 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HS 오토모티브는 2035년에 전 세계 자율주행 자동차의 연간 판매 대수가 1,200만 대에 달하고 2050년 후에는 일정한 수준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또는 자율주행 상용차로 대체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GoogleAudi는 현재 레벨 3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단계를 구축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는 현재 레벨 2의 자율 주행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레벨 3의 조건부 자율 주행 자동차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모델에 자율 주행 기술의 3단계에 해당하는 고속도로 주행 지원, 후 측방 충돌 회피 지원 등 최첨단 주행지원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세계 시장에서 경쟁을 위해서는 삼성과 LG와 같은 자동화 시스템 업체와 현대·기아차가 자율 주행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하여 상생 구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Sagar Behere, Martin Torngr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73()
잡지명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36~150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