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체 기반 생물제제에 의한 황색포도상구균 제거 전략

전문가 제언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는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하나로서, 폐렴, 심장내막염, 패혈증과 같은 치명적 질병의 원인균이다. 특히 메티실린-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균주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질환(S. aureus 감염의 50% 이상, 치사율 약 15%)이 인류건강에 심각한 위험성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실질적으로 이 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증가와 새로운 항생제들 개발에 대한 오랜 공백 그리고 백신 결여에 의해 심각한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 리뷰는 S. aureus 감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항체-기반 생물제제들의 개발의 중요성과 그 개발전략 및 전망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연구자들은 S. aureus 감염질병들에 대한 기존의 1세대 항체-기반 생물제제들의 실패의 원인은 단일의 세포표면-연관 S. aureus 항원들을 표적으로 한다는 것과 세균들이 갖는 다른 기전들 특히 식세포들 내에서 세균생존을 촉진하는 S. aureus의 분비인자들에 의한 숙주면역계의 도피성분들에 대한 파괴 전략의 결여를 지적하고 있다.

 

이어서 S. aureus의 면역침투기작들을 표적한 혼합항체 또는 다가형 생물제제(백신용 및 수동면역용)의 개발현황(여러 제약회사 및 연구자)과 그 성과를 소개한다. 이러한 새로운 다가형 생물제제들은 MRSA에 대항하는 활성을 보였고, 이 분자의 mAb 부분을 통해 효과적인 옵소닌화와의 조합을 통해 세포내에서도 활성을 가지며, 외 독소-매개성 파고솜분해의 중화반응을 가짐을 보이고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표적항체-기반 생물적 제제들의 임상적 유용성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밝은 전망을 알리고 있다. 국내의 백신개발에 종사하는 생명공학 및 제약회사의 관련분야 연구자들과 기술자들에게 이 리뷰는 항생제-내성 S. aureus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백신 및 급성 치료용 생물제제 개발전략 수립에 좋은 활용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저자
William E. Saus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7(3)
잡지명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1~241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