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암치료를 위한 자가-조립 약물복합체

전문가 제언

많은 항암 후보 물질들이 개발되었으나 강력한 세포독성에도 불구하고 약리적 효과를 증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항암물질들의 표적은 세포내에 있고, 또한 체내에는 많은 장벽(예로 BBB)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항암제를 체내에 주입하였을 때 약물의 농도가 희석되고 암세포와 조직에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최저농도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나노입자의 사용이다. 여기서 나노입자를 이용한 항암제의 배달에 대하여 리뷰 한다.

 

나노입자(NPs)는 크기가 1100nm인 입자를 말한다. 나노입자에 기초한 배달체계에서 중요한 인자는 입자크기, 크기 분포 및 Z potential 이다. 입자크기는 이것들의 체내 분포와 보유에 영향을 미치고, 표면전하는 주위와의 상호작용과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관련된다.

 

나노입자는 어떻게 만드는가? 먼저 NPs를 자가-조립할 수 있는 약물복합체는 자가-조립 유발물질에 약물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하여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약물복합체는 물속에서 스스로 자가 조립하여 NPs를 형성한다. 자가-조립 유발물질의 특징의 하나는 양친매성(amphiphilic: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모두 갖고 있다)이다. 자가-조립 유발물질에는 생체적합성 중합체[Polyethylene Glycol(PEG) 등등], 그리고 생체 분자(Terpenes Polysaccharides)등이 있다(원문 Figure 1, 2 참조).

 

NPs가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folate(엽산)NPs에 결합시킨다. Folate는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Folate 수용체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조작은 항암제의 강한 세포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항암제를 화학적으로 변형시켜서 약물복합체로부터 약물의 방출을 늦출 수 있다. 유방암과 경구 편평 상피암종에 대한 항종양제인 Paclitaxel을 기능화 하여 유리 약물을 쉽게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자가-조립 NPs는 매우 편리한 방법이므로 앞으로 약물배달에 적극 이용할 가치가 많다.

저자
Gaia Fumagall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1(8)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21~1329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