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고형폐기물 관리전략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 평가

전문가 제언

대만정부는 지구온난화 협약을 충족시키려고, GHG 배출을 줄이기 위해 여러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에 모든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만서 실행하고 있는 다섯 MSW 처리 시나리오로부터 GHG 배출을 평가한다. 이 다섯 시나리오는 매립(사나리오1), 매립, WTE, MRF(시나리오2), WTE 및 MRF(시나리오 3과4) 그리고 WTE 및 재 매립(시나리오5)이다. 

분석결과 시나리오1은 매립지에서 나온 가스는 CH4와 CO2가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4,45X102 kg CO2-eq/일 GHG가 배출되었다. 시나리오2는 매립지, WTE공장 그리고 MRF로부터 GHG가 각각 4.45X103, 2.20X106 그리고 8.08X103 kg CO2-eq/일이였다. WTE공장이 GHG 배출이 압도적이었다. 시나리오3과4를 비교하여, 만약 더 MSWs를 직접 소각하는 대신에 재활용한다면, GHG 배출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WTE에서 GHG 배출을 상당히 줄이는 방법은 재료를 재활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시나리오5는 모든 MSWs를 WTE로 처리하는 가운데 가장 나쁜 시나리오였다. 그것은 4.39X103 kg CO2-eq/일 GHG을 대기권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할 때, GHG 배출은 주로 이산화탄소와 아산화질소이다. 그러나 발전과 에너지회수로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더구나 재료회수시설에서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GHG 완화하는 잠재력은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공장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만 폐기물관리전략 분석을 토대로 GHG 완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도시고형폐기물관리에 대한 미래를 향한 안내서를 제공했다.

한국도 대만과 같은 도시고형폐기물관리를 하고 있으나 여러 대안을 고려한 비교분석은 미미한 편이다. 앞으로 지역별 도시고형폐기물관리 전략을 비교분석하여 더 좋은 GHG 완화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저자
Ying-Chu Ch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13()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06~612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