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성 카로티노이드의 기능성

전문가 제언

카로티노이드는 채소·과일 등의 육상식물, 해조류와 미세조류, 남조세균 등에 의해서 생합성되는 황·등·자색을 띠는 지용성색소 화합물로서 동물에서는 생합성이 불가능하므로 식품을 통하여 섭취하여야 한다.

 

해양생물이 갖고 있는 카로티노이드에는 새우, 게, 연어, 도미, 잉어, 금붕어 등에 함유된 붉은색 색소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지충이, 톳 등 갈조류에 포함되는 푸코산틴(Fucoxanthin)은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능성이 밝혀져 특히 건강보조식품과 화장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아스타잔틴의 다양한 기능성의 근본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다. 지질과산화 억제는 비타민E의 약 550배, β?카로틴의 약 40배, 비타민C의 6,000배, 코엔자임 Q10의 800배, 카테킨의 560배, α-리포산의 75배라고 보고되었다. 또, 미백작용, 안구피로·근육피로 회복작용, 대사증후군 예방과 억제 작용과 항염증작용(관절염, 위염, 포도막염 억제), 항동맥경화 작용, 면역 부활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당뇨병의 억제, 눈 관련 작용, 뇌관련 작용, 간장 관련 작용, 발암억제, 정자 질 향상 근육지구력 향상 등이 보고되어 있다.

 

후코잔틴의 기능성은 항비만 작용으로써 체지방 감소와 에너지 대사의 항진, 당뇨병 예방과 개선 효과, 혈당치 개선 등이 보고되었다. 건미역과 건다시마의 후코잔틴 함유량은 각각 0.5-1.0mg/g과 0.3mg/g이나,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3.5mg/g이므로 후코잔틴 자원으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국내에서 관련 연구로는 아스타잔틴 섭취와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이보영, 2014), 홍삼추출물과 아스타잔틴 혼합물에 의한 DNA 상해반응 조절형 항노화식품 소재개발(박종군, 2014), 푸코잔틴 산업화 연구(판철호, 2015) 등 많은 연구보고가 있는데, 갈조류에서도 생선의 오메가3 지방산에 버금가는 생리활성 물질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이 개발되기를 기대된다.

저자
Hosokawa Masa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8(7)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2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