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변형 설비기술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강을 열처리할 때 가열과 냉각 시 각각 A1변태, A3변태라고 하는 2 가지의 변태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변태에 수반하여 생기는 상의 비체적 차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한다. 또한 이때 가열과 냉각할 때에도 역시 비체적의 차이와 가열과 냉각속도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변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 자동차에 사용되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용 부품은 소음이나 진동을 적게 하기 위하여 기어의 정밀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정밀성을 안정화시키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후 가공의 간략화나 생략이 가능하여 코스트를 대폭 절약할 수 있다. 본 해설에서는 열처리시의 변형감소 및 개선을 위한 기술 중 일부를 소개하고 해설하였다.
○ 강의 열처리 방법 중에서 A1변태, A3변태 이하에서 처리하는 페라이트계 열화학처리인 질화처리는 가열과 냉각시 변태점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열처리 후 비교적 변형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변태점 이상에서 처리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열화학처리인 담금질이나 침탄 등과 같은 열처리는 크고 작은 변형의 발생이 불가피하게 되는데, 현재 국내 열처리업계에서는 업체에 따라 저변형 열처리설비를 갖추고 있는 업체도 있지만, 중 내지 소규모 업체에서는 현대화된 저변형 열처리 설비를 갖춘 업체가 드문 실정이다.
○ 변형을 감소시키는 것은 열처리에서 고강도, 고신뢰성, 고정밀성, 저코스트를 지향하기 위한 중요한 아이템 중의 한 가지이다. 앞으로 새로운 변형감소에 대한 아이템을 창출하여 기존기술에 대한 근본적인 기술을 개량하면 제품의 형상, 품질스펙, 사용목적 등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변형과 치수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공정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열처리 시 변형감소를 위한 연구는 열처리기술이 사용된 이후 지금까지 계속해서 절실하게 요망되는 기술로서 금후에도 이러한 개선을 위한 연구는 끊임없이 계속될 전망이다.
- 저자
- 藤野智彦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56(3)
- 잡지명
- 熱處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2~129
- 분석자
- 김*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