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Cr-1Mo-0.25V-Nb 내열강의 용접특성
- 전문가 제언
-
○ 고온?고압하에서 가동되는 석유정제용 리엑터를 포함한 고온장치의 크리프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페라이트계 첨단형 CrMo강은 Cr과 Mo 성분이 높은 비강도(강도/질량 비율)와 연신율을 가져다(붙이기) 주기 때문에 판재의 경우 소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튜브의 경우 직경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Cr-Mo강을 사용하여 고온?고압 압력용기를 제조할 때는 압력용기 설계제작 및 파손해석과 평가진단기술의 기준이 되는 ASME CODE Section Ⅷ(8)에 의거하여 모재에 대한 충격시험 요구사항, 제작기술에 대한 요구사항, 용접예열/층간온도 유지/후열처리 요구사항, 압력용기의 파손해석 및 평가/진단기술 등을 철저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첨단형 CrMo 강재는 기계적 성질과 내열 성능이 매우 높다. 그러나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CrMo강 모재와 조화되도록 용접조건과 용접재료를 선정하더라도 모재가 급속 가열과 급속 냉각을 받아 용접부에 생성되는 용접열영향부는 모재에 비해 내열성능이 약화되고 용접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용접부를 설계할 때에는 이 점을 깊이 고려하여 용접 중에 취약해지는 용접열영향부를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
○ Cr-Mo강 용접부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소오염과 템퍼취성 및 응력집중에 주의해야 한다. 용접재료가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취급하여 용접부의 수소오염을 방지하고 CrMo강 모재의 미세조직과 부합되는 용접금속의 미세조직을 얻는데 필요한 용가재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9Cr-1Mo-0.25V-Nb강 모재의 고온황화물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다층의 클래딩 육성용접부에 대해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육성용접 시 급냉에 의해 경화된 육성비드의 열영향부(as-quenched HAZ)와 다음 차례의 육성용접 시 템퍼링 처리를 받게 되는 육성비드의 열영향부(tempered HAZ)의 용접후열처리 미세조직이 고온균열감수성과 내응력부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분석하여 용접후열처리의 조건들을 선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 저자
- Yamada Masa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85(4)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53~36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