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센서망의 생체모방 사이버 보안
- 전문가 제언
-
○ 통신망 패러다임은 대규모 망, 이동성, 이기종 망구조, 분산제어, 사이버보안 등으로 진화되고 있지만 기존 기술과 구조는 이러한 변화요구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망 패러다임의 운용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최근 생물학적인 생체모방(bio-inspired) 기법을 통신망의 사이버보안성 강화에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사이버 기술과 물리적 기기를 통합한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구조를 태동하였다. 무선센서망(WSN)은 이러한 CPS기술을 활용한 민군겸용 분야의 주요 응용체계이다. 특히 WSN의 정보수집 능력은 적으로부터 데이터 파괴와 서비스 해킹 등 많은 사이버공격의 대상이 되어 새로운 사이버 보안구조가 요구된다.
○ 군통신망은 국내 육해공 공간의 어떠한 상황에도 신뢰성 높은 음성과 데이터 통신능력 그리고 다양한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는 보안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감시정찰과 조기경보용 WSN의 기존 라우터는 적 사이버공격에 취약하다.
○ 본고에서 제안된 생체모방 사이버보안 기술의 군 WSN 적용은 적의 다양한 사이버공격하에서 강인한 라우팅을 가능하게 하여 군 통신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래 지향적 기술인 생체모방 사이버 보안기술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이것은 민군 WSN의 사이버 보안성 강화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 ETRI와 일부대학에서 개미집단 최적화를 포함한 생체모방 기법을 이용한 무선 라우팅 성능개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차세대 무선망의 급격한 토폴로지 변화와 변칙적인 사이버 공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 높은 프로토콜 개발을 지원하여 대규모 망과 이동 망 그리고 이기종 망 등의 통합 통신망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생체모방 통신보안 분야의 정부기반 연구투자를 통해 관련 인재 양성과 통신보안 분야의 국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Salim Bitam, Sherali Zeadally, Abdelhamid Mellouk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54(6)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8~74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