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Mg-Zn-Ca-Mn계 압출용 신합금 개발

전문가 제언

○ Mg-Zn-Ca계 합금을 비교적 저온에서 압출하면 동적재결정(DRX)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와 석출강화 효과에 의해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압출온도를 올릴 경우 Ca의 효과로 밑면집합조직 외의 새로운 집합조직이 발달하여 밑면집합조직을 약화시키면서 합금의 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 Mn은 결정립과 석출물의 미세화 효과를 보이므로 본고의 저자들은 기존의 Mg-Zn-Ca 합금들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면서 합금원소의 양을 극도로 낮춘 Mg-Zn-Ca-Mn계 합금을 제안하였다.


○ 저자들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높은 강도와 연성을 겸비한 압출용 ZXM합금(Mg-0.21Zn-0.3Ca-0.14Mn, wt.%)을 개발하였다. 300℃에서 압출한 ZXM합금은 TYS 307MPa, 연신율 20.6%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보였다. 압출온도를 350℃로 올리면 TYS는 164MPa로 크게 떨어지지만, DRX비율이 상승하고 Ca에 의해 밑면집합조직이 약화되면서 연신율이 30.0%로 향상된다. 또 CYS/TYS 비가 0.54에서 0.77로 향상되어 항복 비대칭이 완화되므로 널리 사용되는 AZ31 합금보다 모든 면에서 우월하다 할 수 있다. 


○ Mg-Zn-Ca계 합금에 대한 연구는 원래 Mg-Zn-RE계 합금의 압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RE는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 고온에서는 “RE 집합조직”을 형성하여 밑면집합조직을 약화시킴으로써 합금의 연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RE는 고가이기 때문에 그것을 대체할 합금원소를 찾게 되었고, 그것이 Mg-Zn-Ca계 합금이 등장한 이유이다. 지금까지 Mg-4.5Zn-1,1Ca, Mg-3.0Zn-0.2Ca, Mg-1.0Zn-0.3Ca, Mg-1.0Zn-0.5Ca 등 여러 가지Mg-Zn-Ca계 합금이 제안되었다.


○ Mg-Zn-Ca계 합금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도 미세조직, 기계적 특성, 부식특성, 상평형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또 부경대의 “고강도 Mg-Zn-Ca계 합금(KR 0343124)", 포항공대의 "쌍롤법에 의한 고성형성 Mg-Zn-Ca 합금판재의 제조법(WO20122070870)"이 특허기술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합금은 Zn농도가 1%이상으로 높다. Mg-Zn-Ca계 합금은 가공용 합금으로서 실용화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저자
M.G. Jiang, C. Xu, T. Nakata, H. Yan, R.S. Chen, S. Kamad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68()
잡지명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21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