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축분폐기물 혐기성소화에서 열압력 전처리의 에너지수지, 온실가스배출 및 수익성

전문가 제언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신재생에너지비율이 3.52%(2015년 기준)OECD 국가 중에 최하위를 차지했고, 폐기물을 제외한 신재생에너지는 0.9%이며 미국 6.0%, 일본 4.1%와 독일의 10.6%에 비해 매우 낮다(2012년 기준).

 

이러한 상태에서 바이오가스 생성 잠재력이 높은 축분이 캐나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전처리와 혐기성소화를 거쳐 바이오가스로 전환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일부 시설이 개발용으로 가동되고 있을 뿐이다.

 

축분의 메탄생성비율을 제고하기 위해 물리적인 처리, 화학적인 처리, 초음파처리 및, 효소에 의한 미생물처리 등 여러 전처리가 개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100이상의 열수를 사용하는 열압력 전처리에 의한 축분의 혐기성소화를 보고했다.

 

원료로서 액상 축분, 고형 축분 및 액상, 고형의 혼합 축분 등 3종의 축분과 함께 옥수수 줄기가 동시에 혐기성소화를 거쳤다. 열압력 전처리에 따른 에너지회수기간이 원료와 운전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9개월에서 최대 46개월이었다.

 

열압력 전처리가 고형 축분에서는 연간 377,504CO2-eq.의 상당한 온실가스를 절감할 수 있었지만, 액상 축분은 온실가스배출을 저감하지 못했다. 열압력 전처리가 고형, 액상 축분에서 경제적인 타당성을 보이고, 추가적인 편익도 에너지, GHG 배출과 관련되는 비용과 수익성을 추월한다.

 

국내에서는 2010년에 류승현 등이 분쇄기 등에 의한 기계적인 파쇄와 오존을 이용해 돈분 슬러리 전처리가 메탄생성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서 약 20%의 증가를 확인했다. 경기도 안성 국제축산과 경남 창녕 이리바이오 등 일부 업체가 돈분과 음식폐기물을 혼합 소화시키는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저자
Jorn Budd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9()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90~410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