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닭 기형발생을 유도하는 유기인계살충제의 닭 배아 NDA+ 저감을 위한 구조적 조건

전문가 제언

본고에서는 닭 배아에서 유기인계살충제(OPI)의 기형발생물질을 주목표로 하여 OPI가 유도하는 기형발생에서 닭 배아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NAD+) 함량을 낮추기 위한 OPI의 구조적인 요구조건을 측정조사하고 난황낭 막 kynurenine formamidase(KFase) 억제에 필요한 OPI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3차원 정량적 구조 활성관계(3D QSAR)를 이용한 비교 분자 장 분석(COMFA)에서 정전기와 입체구조는 닭 배아의 NAD+ 함량을 낮추는데 필요한 OPI 요구조건에서 양호한 예측자로 활용할 수 있었다. 지배적인 정전기 상호작용은 질소-1, 질소-3, pyrimidinyl의 2-아미노치환체 질소 및 crotonamide carbonyl의 산소에 각각 위치하였다.

Pyrimidinyl의 6번 탄소 치환체와 crotonamide의 질소 치환체는 입체구조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배아 NAD+ 수준을 낮추는 OPI에 기여하였으며 정전기와 입체구조 요구조건 모두 닭 배아 난황낭 막 KFase 억제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PI가 유도하는 닭 기형과 관련된 난황낭 막 KFase 억제 및 배아 NAD+ 함량 감소에서 상호 인과관계에 대한 또 다른 증거 제시는 농약업계는 물론 관련학자들도 주목할 만한 사안이다.

본고와 관련된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닭 배아 기형발생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으나 유기인계 살충제 중독환자의 정맥혈당과 예후와의 관계를 비롯하여 LC-MS/MS를 이용한 인체 뇨 중 유기인계 살충제 대사물질(DAPs) 6종의 동시분석법 확립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저자
J. Seifer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29()
잡지명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3~48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