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빨간집모기 개체군의 형태학적 변이와 다중저항성 및 살충제저항성의 계절적 역학

전문가 제언

신경전달을 손상시키는 살충제 저항성은 모기 개체군에서 널리 연구되었는데 살충제의 해충방제효과에 결정적이기 때문이다. 살충제 저항성 발달은 진화생물학자들이 크게 주목하고 있는데 환경에서의 유전적인 결과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이한 살충제 계열에 Culex pipiens 모기 개체군의 저항성 대립유전자 빈도는 발표 되었지만 아직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세한 정보는 입수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터키 에게 해 6개 지역의 봄에서 가을까지 Cx. pipiens 모기 개체군을 수집하여 4개 계열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의 계절적인 변이를 조사하고, ace-1, kdrRdl 3개 유전자의 저항성관련 작용점 돌연변이 빈도의 계절적인 변화와, 저항성모기 날개의 형태학적 특성에 잠재된 계절적인 변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생물학적 검정결과 모든 지역의 세 계절별로 상이한 저항성 수준이 확인되었으며 PCR 기반의 분자생물학 분석에서는 malathion, bendiocarb 및 dieldrin 살충제 저항성과 관련된 ace-1Rdl 유전자 돌연변이 빈도는 낮았으나 계절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DDT와 pyrethroid 살충제에 대한 kdr 유전자 돌연변이 저항성은 계절별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복합 Cx. pipiens 모기개체군의 살충제 저항성에 잠재된 역학적인 규명을 통하여 저항성관리에 보다 효율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말라리아 매개모기를 비롯한 국내 주요 모기의 효과적인 종합방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비롯하여 한국의 중요모기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 및 저항성에 관한 연구 등이 최근에 수행되었고 특히 뇌염모기에 대비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다.

저자
B.G. Taski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29()
잡지명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27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