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표면에너지 또는 거친 표면을 가진 재료 접합용 감압 점착제
- 전문가 제언
-
○ 종래 아크릴계 점착제의 대부분은 높은 용해도 파라미터 때문에 이들 점착제와 많은 점착부여수지 간에 특정의 잠재적 상호작용이 존재하므로 점착부여수지의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탄화수소 기반 점착부여수지, 특히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들은 무극성의 특성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제 제제에는 사용이 부적합하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대부분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이 표면에너지가 낮은 재질에는 접착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다.
○ 이 발명은 특히 표면에너지가 45dyne/㎠ 이하로 낮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소재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로 구성된 감압점착제를 제공한다. 이 특허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특정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혼합물에 기초함으로써 점착부여수지를 첨가하여도 유리전이온도가 25℃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특이한 조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의 감압접착제 제조는 아크릴수지계가 주류이며, 이어서 합성고무계 등이 생산되고 있다. 아크릴 기반 접착제의 국내 제조업체로는 오공을 비롯하여 대양화학, 대흥특수화학, 이진화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 제조업체의 제품들은 주로 점착테이프, 라벨 등에 대량 사용되고 있지만 접착제의 고기능화에 의한 용도의 확대가 필요하다.
○ 향후 접착제 산업은 환경을 고려하여 용제형을 탈피하여 수성형, 광경화형, 핫멜트형 등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전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한 새로운 소재의 개발과 함께 특수 용도를 지향한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크릴계 감압점착제는 포장용 필름뿐 아니라 자동차, 전기전자, 건축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의 용도가 확대될 것이 예상되므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기존 접합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고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접착제의 응용분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폴리머나 점착부여수지의 개발, 도포 후의 가교반응에 의한 접착 설계, 특수기능의 부여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기술혁신이 요구된다.
- 저자
- TESA SE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237325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