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유래 선스크린 활성 성분 총설

전문가 제언

피부가 일광에 과하게 노출되면 피부 노화가 촉진되고 피부암이 생길 위험이 증가한다. 일광보호 활성이 있는 화합물은 자외선(UV) 영향을 줄이는데 유용하다. 자외선 차단물질이 다수 있지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이 많으며, 특히 유기 차단물질 중에 많다. 그러므로 UV 광선을 흡수 혹은 차단하는 능력을 가진 새로운 화합물, 특히 식물 추출물을 탐색하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일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형 개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 총설은 일광 조사로 인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스크린에 자주 쓰이는 식물의 종류를 고찰한 것이다. 다만, 연구자들은 브라질 지역에서 서식하는 식물과 플라보노이드 및 카로테노이드 물질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므로, 글로발한 식물 추출물을 종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 한국에 생소한 식물이 다수 있다.

 

천연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것이 화장품 업계의 추세이다.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는 특허출원이 활발하다. 최근의 공개특허 예를 들면 ()사임당화장품의 말채나무잎(Cornus walteri leave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있다. 국내 연구진의 논문발표도 다수 있는데, 유재천 연구팀은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뿌리 추출물의 효과를 발표하였다.

 

원문에서 인용한 추출물은 식물명과 화학성분을 둘 다 기술하고 있는데, 국내의 공개특허와 논문은 식물명만을 기술하고 있어 추출물 중의 어느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이 화장품 성분으로 효능을 발휘하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앞으로는 화합물의 종류를 규명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2014.12.)의 자료에는 기능별 화장품 주요 천연물 소재 현황주요 화장품 업체별 기능성 천연 화장품 소재 특허 현황이 소개되어 있는데, 원문에서 인용한 식물명과 중복되는 것이 없는 것이 흥미롭다 하겠다.

저자
L. C. Cefali, J. A. Ataide, P. Moriel, M. A. Foglio, P. G. Mazzol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38()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46~35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