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의료 보조기 및 인공기관의 적층조형
- 전문가 제언
-
○ 미래기술예측기관들은 적층조형(Additive Manufacturing: AM) 관련산업이 엄청난 가능성과 현재의 제조수준보다 훨씬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주목한다. 지금까지 AM응용은 주로 항공우주, 자동차, 전자, 의료산업이었으나 점차 다른 분야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상의 4개 분야는 여전히 AM기술의 주요 응용영역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한다.
○ 의료분야에서 AM의 응용은 정밀의료기기/부품의 가공을 포함하여 뼈, 관절, 의수/의족과 같은 상실된 고기능 생체부위의 인공대체기관(prostheses), 더팀대(brace)로도 부르는 발?손?팔다리?상하지의 보조기구(orthoses), 치과보철 등 매우 다양하다. 이 논문은 주로 정형외과적인 생체 보조기와 인공기관, 인공소켓의 AM기술 응용동향을 분석했다.
○ 전통적 방식의 각종 보조기와 인공기관 제조업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정형외과 의술과 함께 석고몰딩기술을 기반으로 발전이 이뤄져 정밀의료기기의 한 영역으로 성장해 왔다. 특히, 고령화의 빠른 진전과 자동차 사고를 비롯한 각종사고의 증가현상은 관련제품과 기술의 수요증가를 수반하는 상황이다.
○ 1990년대 이후 발과 발-발목 보조기, 의수족 등의 인공기관 개발을 위한 AM기술 응용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발보조기의 경우, SLS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FDM 이용도 두드러진다. 이용되는 AM장비도 다양하지만 3D Systems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재료는 나일론12, ABS수지가 대종을 이루고 있고 창업기업이 출현하고 있다. 그 배경에는 AM이 상대적으로 빠른 제조속도와 코스트 효과가 있다.
○ 그러나 보조기나 인공기관에서 AM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AM시스템을 위한 임상과 설계 간 연결(인터페이스)의 결핍, 경제적 비효율성, 재료 코스트, 제한적인 재료강도와 같은 장애요소를 극복해야 한다고 이 논문은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국내 관련 의료기기산업과 AM 연구자들 그리고 관계기관에 주어진 과제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연구가 전문기관을 통해 빨리 이뤄질 필요가 있다.
- 저자
- Roand K. Chen, Yu-an Jin, Jeffrey Wensman, Albert Shih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12()
- 잡지명
- Additive Manufactu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77~89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