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류역학 센서를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 전문가 제언
-
○ 이 특허기술은 스마트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NFC, Bluthtooth, Wi-Fi 등)을 이용한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로봇 등 기술의 기본적인 인프라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핵심 하드웨어는 센서 기술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확산과 발전으로 인해 고성능을 갖춘 다양한 저가의 센서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와 센서 기술의 접목은 사용자의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켜가고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목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혈류역학(hemodynamic) 센서를 통해 동맥과 심장박동을 기반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NBP(Non-invasive Blood Pressure) 보정을 통해 정확도를 완성하는 것이다. 특히 혈류역학 센서의 혈압 신호를 변형시킬 수 있는 요인을 심장박동과 손가락/팔목 레벨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한 레벨수정 요소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측정함으로써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국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바이오특성 측정 플랫폼 설계기술 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웨어러블 단말에 대한 사용자 기대 조사’의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구현되기를 원하는 설문조사 결과 혈압/맥박/운동량 등 건강상태의 자동기록 기능(74.0%)과 이러한 정보를 이용한 응급통보 기능(66.0%), 외출 전 일기예보 통지기능(54.5%), 위험상황 시 자동 알람기능(51.0%) 등을 요구한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이를 보면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적용분야는 헬스캐어 및 생활안전 등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에는 보다 더 다양한 웨어러블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Statista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에 판매된 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 상위 10개사의 판매량은 총 481만대이며, 이중 삼성전자의 기어(gear)가 120만대로 1위를 차지했다. 2014년 상위 10개사 중 10위 기업인 ASUS의 판매량이 12만대임을 보면 총 500만대 정도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러한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CNSYSTEMS MEDIZINTECHNIK AG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1078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