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구조를 위한 웨어러블 센서 플랫폼 설계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폰 임계값 기반의 경고모듈 구동방법은 스마트폰의 설정임계값을 기준으로 경고신호를 발령함으로써 웨어러블 플랫폼과 스마트폰을 효과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이벤트 감지신호의 강약에 따라 슬립모드와 활성모드를 선택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이러한 특징은 국내 웨어러블 기기의 저전력 기술과 웨어러블 플랫폼-스마트폰 연동기술 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웨어러블 플랫폼-스마트폰 연동기술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스마트폰 App(그림1의 1910)을 통해 무선네트워크(그림1의 1900)에 접속하여 이벤트처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PC(그림1의 1945)의 GUI를 통해 직접 무선네트워크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 점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측면에서 매우 가치가 있다. 이 경우 PC와 스마트폰이 동기화되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컴퓨팅 과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이벤트 상황에 따른 실시간성 동기화 기능에 대한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IDC의 보고에 의하면, 2019년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전년 대비 42.6% 성장한 약 1억5,000만 개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특허기술과 같이 IoT-웨어러블기기-스마트폰 연동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한다면 2020년에는 약 500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플랫폼 간, 기기 간 연동기술과 아울러 다양한 소비니즈를 반영한 획기적인 사용자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웨어러블 기기와의 연동기술로 인해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건강측정과 운동량, 심전도, 심장박동 등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보편화되고 있다. 측정된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의사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환자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특허기술과 같이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저자
- CAPASSO, Gennarino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1369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0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