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기기의 연동 기술과 보안 콘텐츠 처리 방법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스마트폰의 무선네트워킹 기능을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웨어러블 기기와의 효과적인 연동기능과,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탐지하여 불법사용자의 악의적인 데이터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한 것이다. 이는 웨어러블 기기의 연동기술과 보안강화 측면에서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국내 웨어러블 기기의 연동 플랫폼 및 보안모듈 설계기술 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웨어러블 기기의 연동 및 보안처리 구조를 보면 4개의 사용자인증모듈(그림1의 1302,1303,1304,1305)을 거쳐 멀티미디어신호를 서비스제공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인증을 완료하는 프로세스로 설계되어 있다. 이는 보안강화 효과는 있으나, 트래픽이 폭주할 때는 실시간성이 떨어져 온라인 뱅킹 같은 경우 시간지연으로 인한 정보해킹 등의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여 4개의 사용자인증모듈을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개별 인증모듈이 적용될 수 있도록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6년 6월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총액은 전년 동월 대비 18.8%증가한 5조1,762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이 2조6,486억 원으로 51.2%를 차지하고 있다. 이 모바일쇼핑 거래액 중에는 이 특허기술과 같이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거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관련 기업에서는 특화된 웨어러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IDC에 의하면, 2016년 1분기 글로벌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7.2% 증가한 1,970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미국의 핏빗이 480만대로 세계 1위, 중국의 샤오미는 370만대로 2위, 애플은 150만대로 3위, 삼성전자는 70만대로 5위를 차지하였다. 이에 국내 기업의 웨어러블 기기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높일수 있는 특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의류와 신발과 같은 새로운 착용방식의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어 이에 따른 기기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소비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과 기술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NEPTUNE COMPUTER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1369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8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