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생제 유도에 의한 장(腸) 미생물군총의 변화와 질병

전문가 제언

소개하는 논문은 근래 연구가 강화되고 있는 장내의 미생물군총(microbiota), 특히 항생에 유도에 의한 질병과의 관련성을 많은 참고자료로서 소개하고 있다. 장내 미생물군총은 생체 내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는 소화할 수 없는 식품재료들을 소화하여 숙주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근래의 연구에서는 미생물군총이 숙주의 면역을 제고하며 뇌 활동, 특히 정서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Clostridia 등의 조성 비에 따라서는 비만유발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 미생물군총(microbiota)이 다이어트, 식품섭취 및 항생제 치료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많은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Suez 등은 Nature 등에서 인공감미료 섭취가 사람 장내의 미생물군총의 조성을 바꾼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근래에 미생물군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과 미생물군총을 조절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항생제 과다 사용에 의한 각종 부작용 문제는 널리 알려진 사실로서 이에 대한 대체 방법 중의 하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사용, 분(糞) 이식 및 특이 분자들의 주입 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들 방법들이 항생제를 대체하기에는 많은 해결 과제들을 안고 있다. 이는 특이 미생물의 장강에서의 역할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현재 장의 미생물 군총 조정은 세계적으로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일본, 유럽 등에서는 여러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들이 기능성 식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미국 등에서는 특이 장 신경성 질환과 비만 조정을 위하여 분이식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수 회사가 유익균을 비롯하여 많은 관련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효능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생물군총과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보다 많이 포함시켜 신뢰성 있는 효능 증거들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들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Simone Becattini, Ying Taur and Eric G. Pam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2(6)
잡지명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58~478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