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풍력터빈의 단지수준 상태관리를 향한 저속기계의 진단과 예측

전문가 제언

대형 풍력단지가 신재생 에너지에 의존 증가로 인해 중요성을 얻고 있다. 이들 풍력단지가 신뢰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태기반 정비와 같은 선진 정비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나 풍력터빈은 회전기계에 억제 효과를 갖는 불규칙적인 부하패턴, 간헐적인 작동 및 혹독한 날씨 조건에 관해 독특한 어려움이 있다.

 

이 글은 풍력 터빈의 2가지 중요한 실패하기 쉬운 부품인 저속 베어링과 유성 기어박스에 관계되는 진단과 예측 분야의 최신 기술을 검토한다. 이 조사는 풍력터빈 단지수준의 상태관리에 적용되는 방법들을 평가하고 신뢰성, 정확성 및 실시 측면과 같은 기준에 대해 이러한 방법들을 비교 검토한다.

 

해상풍력 터빈의 높은 신뢰성과 유효성을 보증하는 한 가지 접근법은 진보된 상태 감시와 신뢰성 예측 시스템의 도움으로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풍력단지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이 이 같은 전략을 확립하는데 공헌한다.

 

오늘날 유용한 풍력터빈 실패와 정비 데이터의 양과 깊이는 실제의 정교한 정량적 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불충분하다. 깊이 있는 실패와 정비 데이터가 표준화되고 자동화된 수집이 풍력터빈의 신뢰성, 유용성 및 수익성을 위해 중요한 단계이다.

 

한양대학교의 이윤성 등은 RCM 기법을 풍력 발전기에 도입하여 각 부품의 고장률을 고려한 최적의 유지보수주기를 결정하는 신뢰도기반 유지보수 계획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한반도 서남해안에 해상 풍력 단지 조성을 위한 시범단지 운영 계획이 있으나 어민들의 반발로 진전이 느리다.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고 충청도와 전라도지역의 산업발전과 조선소의 업무량 확보를 위해 어민들의 동의를 위한 관계 기관의 설득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Surya Teja Kandukuri, Andreas Klausen, Hamid Reza Karimi, Kjell Gunnar Robbersmy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5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97~708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