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극성장애의 병인에 대한 분자신경생물학적 단서

전문가 제언

조울증으로도 불리는 양극성장애(bipolar disorder: BD)는 조증(mania) 과 우울증(depression)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기분이 언제든지 조증이나 우울증으로 바뀔 수 있고 우울 증상과 조증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발병원인은 생물학적 원인, 유전적 원인, 심리사회적 원인의 세 가지가 있는데, 이들 원인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조울증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인에게서 조울증이 나타날 가능성은 대개 1% 이내이고, 우울증에 비해서 유전적 요인이 더 밀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D의 범주에는 기분 변화의 심각도와 동반되는 사고, 행동 장애의 정도에 따라 유형을 나누어 1, 2형 양극성 장애와 순환성 기분장애로 분류한다. BD의 치료에는 리튬(lithium), 발프로에이트(valproate),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등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약물이며, 라모트리진(lamotrigine), 토파메이트(topamate) 등과 같은 약제들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헌정 교수 연구팀은 야간에 노출된 밝은 빛에 의해 생체리듬이 깨트려지고 우울증이나 BD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연구는 젊은 성인 남성 25명에서 잠들기 전 4시간 동안 일상적인 빛인 150 룩스와 인위적인 밝은 빛인 1000 룩스의 빛에 노출됐을 때 일어나는 생체리듬의 변화 유무와 정도를 분자 생체시계, 수면다원검사, 활동기록기 검사 등을 이용해 평가했다. 또한 연구팀은 이를 기분장애 설문 점수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연구팀은 모든 피험자에서 강한 빛에 노출시킬 때 시간조절 유전자 발현이 지연됐지만, 코티졸의 경우에는 기분장애 척도 점수가 높은 경우에만 지연됐다는 것이 흥미로운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강한 빛에 의해 실제 생리적 기능(코티졸)의 지연까지 발생하는 것이 우울증과 BD 취약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저자
Paul J Harris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6()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