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아기형 유발 바이러스와 지카바이러스 모델에 대한 교훈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근래 적도과 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광범위하게 지카바이러스가 확산됨에 따라서 전문인은 물론이고 일반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 바이러스의 낮은 병원성에도 불구하고 소두증 등 신경기형유발과의 관련성이 의심되어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카바이러스 이외, 다수 기존 태아기형 유발 바이러스들의 마우스에서의 감염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레뷰한다.

 

최근에는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임상 시험이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에서 시작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현재 여러 외국에서 지카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시작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정부주도 하에서 지카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과제가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신 개발을 위해서는 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며 일부 곤충매개바이러스 생백신이 태아기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서 지카바이러스 개발에 있어서도 효능 이외에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태아기형 유발에 관한 기작의 규명이 필수적이다.

태아의 신경기형유발 바이러스로서 사람에서는 풍진(rubella), 사람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human cytomegalo virus, HCMV) 및 단순포진 바이러스들이 잘 알려져 있다. 지카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소두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서 이들 바이러스를 사용한 마우스 연구 결과에 대한 문헌들을 다시 검토하고 있으며 여기서 확보한 자료들이 지카바이러스의 태아 기형유발을 규명하는 데에 큰 교훈(lession)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지카바이러스에 관한 많은 정보들이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본뇌염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성상이 지카바이러스와 유사하며 동물에서 태아 유산을 일으킴에 따라서 지카바이러스의 마우스 모델 개발에 큰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효과적이며 안전성이 높은 지카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서는 이미 수행된 유사 바이러스 연구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저자
Kenneth Kim and Sujan Shrest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4(8)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22~636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